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머니볼, 세상은 결국 통계 결과로 수렴한다

by 무엇이든 읽음 2021. 7. 2.
반응형

우리 빵 형님의 10년 전. 머니볼 영화 포스터.

브레드 피트 하나 보고 선택한 영화인데,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려준 영화

빵 형님이 주연한 무려 2011년에 개봉한 통계 야구 전략 경영 영화다. 84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6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그 작품성을 뽐냈고, 흥행도 상당했다. 만년 꼴찌에, 경쟁 팀에 그나마 우수한 선수들을 다 빼앗기는 오클랜드 에슬레틱스의 구단주가 경영학을 전공한 피터와 함께 오직 데이터만으로, 문란한 사생활이 문제인 선수, 나이가 너무 많은 선수, 잦은 부상을 당하는 선수를 영입해서 팀을 꾸린다. 그리고 이 팀은 실제로 성과를 냈다. 판단을 흐릴 수 있는 여러 바이어스를 모두 제거, 무시하고 오직 데이터만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 결정을 밀어붙인 구단주 빌리(브레드 피트)의 뚝심과 인사이트가 돋보인 영화였다.

 

 

세상만사가 다 결국 통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 영화

야구는 통계의 스포츠라고 할 만큼 철저한 기록과 데이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통계의 지배를 받는다. 물론 각기 선수들의 컨디션, 그들 간의 케미, 상태팀과의 케미 등 단순히 통계만으로 해석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스포츠지만, 큰 틀 안에서는 게임의 결과가 통계를 벗어나기는 어렵다.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통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학 졸업 후 처음 직장에 들어가는 나이가 서른 정도라는 것, 결혼을 하는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 법정 정년 연령이 있지만 실제 직장인들은 그에 비해 턱없이 짧은 근속기간을 갖는다는 것, 출산율 감소로 한국 인구는 줄어들고 결국 나라의 존속이 어려울 정도로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한국인의 평균 수명이 점점 늘어나서 지금 40대는 평균 100세 이상 살게 된다는 것들이다. 이런 것들은 모두 통계로 데이터가 나와 있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값을 예측했을 때 반드시 일어나게 될 일들이다.

빌리와 피터, 그리고 실제 빌리.

이런 '반드시 일어날 일'은 우리 같은 개인이 피해낼 재간이 없다. 피할 수 없다면, 그 안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고, 그 기회를 활용할 수 있을지를 알아내는 것이 최선이다. 앞으로 일어날 일들이 나에게 언제, 어떻게,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를 예상해서 지금부터 당장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정년이 60세가 아니라 50세인 것 같다면, 나에게 남은 직장생활을 역산해야 한다. 그렇게 남은 기간을 확인하고, 앞으로 얼마의 기간을 직장 없이 살아내야 하는지도 역산할 수 있다. 50대, 60대, 70대의 평균 생활비를 알아낼 수 있고, 지금 나의 자산을 바탕으로 돈이 남는지, 모자랐는지 알 수 있다. 결국 모든 것이 통계의 결과로 수렴한다면, 그 사실은 바꿀 수 없지만, 그것을 이용해서 대비할 수는 있는 것이다.

 

통계가 허용하는 안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처음 '머니볼'을 보고 10년이 지났다. 영화를 보고 지금까지 10년의 삶은 영화에 대한 내 해석을 바꿔놓았다. 영화는 계속 통계를 실마리로 풀려나간다. 저평가된 실력 있는, 팀에 도움이 되는 선수들을 골라내고, 그들의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에 모두 깊숙하게 통계가 들어가 있다. 하지만, 브레드 피트 형님이 아무리 머리를 짜서 섭외하고, 구성한 팀이 성과를 낼 때까지 버틸 수 없었다면 감동실화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나 같은 보통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결국 '존버력'이다. 통계를 바탕으로 나에게 일어날 일들을 예측하고, 그 일을 미리 대비하는 것. 그리고 대비한 일이 빛을 발할 때까지 버텨내는 것이 우리가 통계를 이용해서 삶을 살아가는 방법이다. 미래를 아무리 훌륭하게 대비하고 있다고 해도, 최고의 순간이 오기 전에  포기해버린다면, 기회는 오지 않는다. 아니, 기회가 오더라도 잡을 수가 없다. 충분한 '존버력'이 있다고 해도, 데이터를, 통계를 잘못 해석해서 엉뚱한 곳에서 실력을 갈고닦으면서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면 이것 또한 무의미한 일이다. 통계 자료는 넘쳐난다. 우리는 정보를 가공해서 데이터로 만들 필요 없다.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배울 필요가 없다. 다만, 만들어진 데이터를 물끄럼이 지켜보다가 거기서 올바른 인사이트를 읽어내고, 확신이 생긴다면 그것을 존버해 내는 것. 이것만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